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카카오톡 멀티프로필 승인받는 방법과 설정하기

카테고리 없음

by 오늘의 생활 2021. 2. 1. 15:05

본문

카카오톡 멀티프로필 승인받는 방법과 설정하기

- 카카오톡 멀티프로필 승인 소요기간 및 세부 설정법

이 글을 보시고 계신 분들은 최근 카카오톡에서 멀티프로필을 설정할 수 있다는 말을 듣고 검색해서 들어오셨을 겁니다. 카카오톡 멀티프로필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일종의 통과의례가 필요합니다.

카카오톡 멀티프로필 승인과 설정방법은 아래에서 상세히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우선 카카오톡 멀티프로필은 현재 누구나 사용 가능한 것이 아닙니다. 특정 사람들에게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요. 바로 새로 출시된 <카카오 지갑>을 설치하신 분에 한해 이용이 가능합니다.

카카오 지갑 설치방법은 아래의 글을 참고하시고, 다시 이 글로 돌아오셔서 승인기간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카카오톡 멀티프로필 설정법

카카오톡 멀티프로필 설정법 - 5분 안에 카카오톡 멀티프로필 쉽게 신청하기 - 최근 일부 사용자들부터 카카오톡에서 멀티프로필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아직 모두가 사용할 수 있는 공

horangmung.tistory.com

 

카카오톡 멀티프로필 승인에 걸리는 시간

아마 많은 분들이 바로 설정해서 사용하고 싶으시겠지만 카카오의 고도의 전략인지, 카카오 지갑을 설치한 사람들에 한해서만 순차적으로 배포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카카오 지갑을 깔고 얼마나 기다려야 되는거야? 하고 궁금해하실 분이 계실겁니다. (저도 무척 궁금했거든요.) 승인 소요기간은 아래와 같습니다.

■ 카카오 지갑 설치 후 3일차 되는 일자에 멀티프로필 생성되어 사용 가능

 

저는 신청하고 하루 이틀이면 바로 사용할 수 있을 줄 알았는데, 자그만치 3일이나 걸렸습니다. 즉 신청하고 이틀 기다린 후 그 다음날인 3일차에 멀티프로필 메뉴가 생성되었습니다.

아마 신청자 대기 수에 따라 이 기간은 변동 오차가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럼 아래에서 카카오톡 멀티프로필을 실제 어떻게 설정하고 작동하는지, 먼저 승인받은 제 사례를 토대로 자세히 설명해 보겠습니다.

 


 

카카오톡 멀티프로필 실제로 설정하기

 

 

▲ 드디어 모습을 드러낸 멀티프로필! 말씀드린대로 카카오 지갑 설치 후 3일차에 생겼습니다.

+ 버튼을 누르면 이처럼 프로필 사진과 이름, 상태메시지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프로필 이름은 <테스트>로 설정해 보았습니다.


상태 소개글은 그냥 <2021>로 넣어보았구요.

사진과 이름, 프로필 상태메시지까지 기본 설정이 끝났습니다. 이 세가지가 타인들에게 보여지는 정보가 됩니다.

여기부터가 그룹 구성 방법입니다. 하단의 <친구 관리>를 눌러줍니다.

이 프로필을 보게되는 사람들을 설정하는 창입니다. <지정친구 추가>를 눌러 들어갑니다.

내 전체 친구 중에서 <테스트>계정의 사진과 이름, 상태메시지를 노출할 사람들을 우측에서 체크 체크 하시면 됩니다. 

선택한 인원들만 이렇게 그룹으로 묶입니다. 끝입니다. 이 그룹의 사람들에게는 내 본 계정 대신 <테스트>라고 이름지은 멀티프로필의 사진과 이름, 상태메시지가 노출됩니다. 좋죠?


하나의 계정을 더 생성해 보겠습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시면 되구요, 위처럼 기존에 그룹으로 먼저 묶인 사람들은 해당 멀티프로필의 이름과 사진이 표시가 되어서 구분이 가능합니다. 아까 설정한 <테스트> 계정에 묶여있는 사람들이 표시됩니다.

겹쳐지지 않게 새로운 <테스트2> 계정의 프로필을 보여줄 사람들을 추가로 선택하시면 됩니다.

제가 새로 생성한 계정 2개가 보입니다. 끝입니다!


참 간단하고 편한 멀티프로필 설정방법이었습니다. 내 사생활을 노출하고 싶지 않은 사람들은 이 카카오 멀티프로필 설정 기능으로 충분한 프라이버시를 보장받을 수 있게 될 것 같습니다.


현재 카카오톡 멀티프로필은 이처럼 일부 카카오 지갑 설치 유저들에게만 베타테스트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정식 서비스로 모든 사람들이 이용하게 될지는 좀 더 지켜봐야 겠습니다.

멀티프로필을 사용하실 분은 이처럼 조금의 기다림 후에 지금 멀티프로필을 사용해 보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