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관리의 가장 기본은 비만을 방지하는 것인데요. 내 몸무게가 과연 지금 표준치인지 확인할 수 있도록 다음, 네이버 등 포털사이트에서는 표준몸무게 계산기를 기본 제공하고 있습니다. 다음과 네이버의 표준몸무게 계산기 사용법과 BMI 지수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BMI란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의 약자입니다.
자신의 몸무게(kg)를 키의 제곱(㎡)으로 나눈 값으로, 체지방량과 상관관계가 가장 높아 체중 및 신장을 이용한 지수 중 널리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오랜 연구 결과 체질량지수와 사망률 사이에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체질량지수의 증가에 따라 비만 관련 질환들의 발생 비율도 증가하였습니다.
우리가 아래에서 살펴볼 다음과 네이버의 표준몸무게 계산기는 모두 이 체질량지수 BMI를 기준으로 비만과 적정을 구분하게 됩니다.
참고로 BMI 지수는 동양과 서양인의 체구에 따라 약간의 적용 차이가 있으며, 기준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BMI 기준
세계보건기구
BMI ≥25 kg/m2 : 과체중
BMI ≥30 kg/m2 : 비만
세계보건기구 아시아태평양지역과 대한비만학회
BMI ≥23 kg/m2 : 과체중
BMI ≥25 kg/m2 : 비만
대한비만학회 비만 진료지침 (2018 기준)
BMI 23-24.9 kg/m2 :비만 전 단계(과체중 or 위험체중)
BMI 25-29.9 kg/m2 :1단계비만
BMI 30-34.9 kg/m2 :2단계비만
BMI ≥ 35 kg/m2 :3단계비만(고도비만)
먼저 포털사이트 다음의 표준몸무게 계산기입니다.
아래와 같이 <표준몸무게 계산기>라고 입력하면 바로 메인화면에서 입력해 볼 수 있습니다.
우선 성인 남성을 기준으로 신장 180cm에 73kg이라는 가정 하에 아래와 같이 입력해 보겠습니다.
결과는 BMI 22.53으로 정상이 나왔습니다.
몸무게만 74kg으로 올려봅니다. 역시 정상 체중 범위입니다.
여기에 1kg만 더해봅니다. 75kg으로 입력 시 드디어 과체중으로 넘어갑니다. 여기서 정상으로 만들어보기 위해서 0.1kg 단위로 낮춰서 입력하다 보면, 아래와 같이 74.5kg부터 정상범위에 들어감을 볼 수 있습니다.
즉, 신장 180cm인 사람은 74.5kg의 표준체중 이하를 유지할 때 BMI 지수가 정상으로 나옴을 볼 수 있습니다. 180cm 신장인 사람은 관리 몸무게를 74.5에 맞추고 식단이나 운동으로 체중을 관리하면 되는 것입니다.
이번에는 네이버의 표준몸무게 계산기 사용법입니다.
우선 네이버에서도 녹색창에 <표준몸무게 계산기>를 입력합니다.
다음과 마찬가지로 메인 화면에서 바로 입력이 가능한 계산기가 등장합니다.
이번에는 여자 신장 160cm에 여자들이 꿈꾸는 몸무게 45kg을 입력해 보겠습니다. 저체중으로 나옵니다. 우리사회의 여자 몸무게에 대한 기준이 너무 높음을 알 수 있습니다.
46kg도 저체중에 속하는 것으로 나옵니다.
한참 올려서 55kg으로 올려봅니다. 정상 체중입니다.
59kg으로 확 높여보니 드디어 과체중이 뜹니다. 조금씩 낮춰서 정상과 과체중의 기준점을 찾아봅니다.
몇번 숫자를 입력해보면 160cm 신장의 여성은 58.8kg까지가 정상 체중임을 확인해 볼 수 있었습니다.
여기서 0.1kg이 늘어 58.9kg이 되는 순간이 과체중으로 넘어가는 기준점입니다.
따라서 신장 160cm의 우리나라 여성이라면 58.9kg을 관리의 기준점으로 두고 식단이나 건강을 관리하면 적절하다는 뜻입니다.
이상 대표 포털사이트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표준몸무게 계산기 사용법을 살펴보았습니다. 건강이 가장 중요한 자산인 만큼 적절한 운동과 식단 조절로 건강하게 지내시길 기원하겠습니다.
머선 129 뜻, 의외네? (0) | 2020.08.20 |
---|---|
핑프 뜻, 이거였어? (0) | 2020.08.20 |
시나몬 가루와 계피 차이, 이것? (2) | 2020.08.14 |
롯데월드 아쿠아리움 후기(할인,주차,이용시간 등) (0) | 2020.08.10 |
박카스 디카페인 vs 박카스 성분 차이는? (0) | 2020.08.06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