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모두 먹고살기 위해 열심히 일을 합니다. 그 댓가로 받는 소중한 연봉. 연봉의 실수령액이 얼마인지는 언제나 우리의 관심사일 수밖에 없는데요. 2020 연봉 실수령액을 정리해보았습니다.
■ 2020 연봉 실수령액 참고사항
- 연봉 실수령액은 연봉을 월액으로 나눈 금액에서 공제액을 차감한 금액으로 산출됩니다.
- 공제액은 크게 1.국민연금 2.보험(건강보험,장기요양보험,고용보험) 3.세금(소득세,지방소득세)으로 구분됩니다.
- 연봉 실수령액 표의 금액은 비과세 급여나 수당 등은 포함되지 않는 순수 금액입니다.
- 일반적으로 상여금은 연봉에 포함, 성과급은 연봉에 포함하지 않습니다.
아마도 가장 많은 직장인이 속한 그룹일 것 같습니다. 2020년 최저시급은 8,590원으로 최저임금을 통한 연봉 계산으로 그 이하의 금액은 표에서 제외하였습니다. 또한 보통 표에서는 보험이나 세금까지 표기하는 경우가 많은데 모두 제외하고 공제액 하나로만 표시했습니다.
연봉 2,100만원 ~ 연봉 4,000만원 실수령액은 159만원 ~ 291만원입니다.
특징적인 금액 몇개만 꼽아보자면 연봉 2,500만원은 실수령액 189만원, 연봉 3,000 실수령액은 224만원, 연봉 4,000 실수령액은 291만원입니다. 사회초년생의 경우 연봉 4,000만원이라고 하면
'음, 4,000 나누기 12하면 333만원이니 월 300 이상은 받겠지?'
하고 생각하기 쉽겠지만 현실은 생각보다 적은 291만원대입니다. 우리의 이상은 높은데 항상 현실은 아쉽습니다.
연봉 | 실수령액 | 공제액계 |
2,100만원 | 1,594,790 | 155,210 |
2,200만원 | 1,669,043 | 164,290 |
2,300만원 | 1,743,296 | 173,370 |
2,400만원 | 1,817,310 | 182,690 |
2,500만원 | 1,890,463 | 192,870 |
2,600만원 | 1,963,596 | 203,070 |
2,700만원 | 2,036,710 | 213,290 |
2,800만원 | 2,109,853 | 223,480 |
2,900만원 | 2,179,916 | 236,750 |
3,000만원 | 2,248,340 | 251,660 |
3,100만원 | 2,316,813 | 266,520 |
3,200만원 | 2,384,896 | 281,770 |
3,300만원 | 2,451,470 | 298,530 |
3,400만원 | 2,515,923 | 317,410 |
3,500만원 | 2,580,346 | 336,320 |
3,600만원 | 2,656,670 | 343,330 |
3,700만원 | 2,723,873 | 359,460 |
3,800만원 | 2,788,286 | 378,380 |
3,900만원 | 2,852,700 | 397,300 |
4,000만원 | 2,917,143 | 416,190 |
취업 후 몇년 일한 후에 도달할 수 있는 지점, 혹은 최상위 공기업에 취업했을 때 초봉으로 받을 수 있는 구간입니다. 초봉 4,000이상의 공기업은 글 하단에 링크를 걸어두었으니 잠시 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연봉 4,100만원 ~ 연봉 6,000만원 구간의 실수령액은 298만원에서 418만원입니다.
표로 보면 참 쉬운데, 연봉 4,000에서 6,000으로 올리는 것은 일반 직장인에게는 너무도 힘겨운 일이기도 합니다. 더 좋은 회사로의 널뛰기가 아니면 근속년수만으로는 쉽게 상승시키기 어려운 구간입니다.
상징적인 금액 몇 개만 살펴보면 연봉 5,000 실수령액은 355만원, 연봉 6,000 실수령액은 418만원입니다.
연봉 | 실수령액 | 공제액계 |
4,100만원 | 2,981,576 | 435,090 |
4,200만원 | 3,045,970 | 454,030 |
4,300만원 | 3,110,423 | 472,910 |
4,400만원 | 3,174,836 | 491,830 |
4,500만원 | 3,239,250 | 510,750 |
4,600만원 | 3,303,693 | 529,640 |
4,700만원 | 3,362,136 | 554,530 |
4,800만원 | 3,425,500 | 574,500 |
4,900만원 | 3,488,923 | 594,410 |
5,000만원 | 3,552,316 | 614,350 |
5,100만원 | 3,615,690 | 634,310 |
5,200만원 | 3,679,103 | 654,230 |
5,300만원 | 3,742,506 | 674,160 |
5,400만원 | 3,805,860 | 694,140 |
5,500만원 | 3,869,273 | 714,060 |
5,600만원 | 3,932,666 | 734,000 |
5,700만원 | 3,993,290 | 756,710 |
5,800만원 | 4,056,723 | 776,610 |
5,900만원 | 4,120,116 | 796,550 |
6,000만원 | 4,183,470 | 816,530 |
대기업 정도나 공공기관, 공기업에서 꽤 일을 해야 받을 수 있는 연봉 구간입니다. 연봉 금액부터 상당히 크게 느껴지는데요. 사실 실질적으로 받는 금액은 생각보다 작아서 또 놀라게 되기도 합니다.
연봉 6,100만원 ~ 8,000만원이 받는 월 실수령액은 424만원부터 531만원입니다.
연봉 7,000 실수령액은 478만원, 연봉 8,000 실수령액은 531만원입니다. 월 급여로 500만원을 딱 넘기는 순간의 연봉은 7,500만원임을 알 수 있습니다.
연봉 | 실수령액 | 공제액계 |
6,100만원 | 4,246,893 | 836,440 |
6,200만원 | 4,310,286 | 856,380 |
6,300만원 | 4,373,660 | 876,340 |
6,400만원 | 4,437,073 | 896,260 |
6,500만원 | 4,500,476 | 916,190 |
6,600만원 | 4,562,980 | 937,020 |
6,700만원 | 4,618,693 | 964,640 |
6,800만원 | 4,674,376 | 992,290 |
6,900만원 | 4,730,080 | 1,019,920 |
7,000만원 | 4,785,823 | 1,047,510 |
7,100만원 | 4,841,546 | 1,075,120 |
7,200만원 | 4,869,760 | 1,130,240 |
7,300만원 | 4,925,283 | 1,158,050 |
7,400만원 | 4,980,786 | 1,185,880 |
7,500만원 | 5,036,270 | 1,213,730 |
7,600만원 | 5,091,793 | 1,241,540 |
7,700만원 | 5,147,306 | 1,269,360 |
7,800만원 | 5,202,780 | 1,297,220 |
7,900만원 | 5,258,303 | 1,325,030 |
8,000만원 | 5,313,816 | 1,352,850 |
회사 중역이나 임원, 일부 고액연봉자가 속할 구간입니다. 연봉 9,000 실수령액은 586만원, 누구나 꿈에 그리는 연봉 1억 실수령액은 642만원입니다. 어릴적 막연히 생각할 때 연봉 1억 넘으면 한달에 거의 천만원 받는 거 아니야? 하던 시절이 있었는데, 실제 연봉 1억은 상당히 많은 공제액을 떼고 642만원이 남습니다.
이래서 직장인으로는 큰 돈을 벌 수 없다고 하는 걸까요? 이런 테이블 안에 갇혀 있는 자체가 직장인이 단기간에 큰 돈을 모을 수 없는 한계가 되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연봉 | 실수령액 | 공제액계 |
8,100만원 | 5,369,290 | 1,380,710 |
8,200만원 | 5,424,823 | 1,408,510 |
8,300만원 | 5,480,326 | 1,436,340 |
8,400만원 | 5,535,820 | 1,464,180 |
8,500만원 | 5,591,343 | 1,491,990 |
8,600만원 | 5,646,836 | 1,519,830 |
8,700만원 | 5,702,330 | 1,547,670 |
8,800만원 | 5,757,853 | 1,575,480 |
8,900만원 | 5,813,366 | 1,603,300 |
9,000만원 | 5,868,840 | 1,631,160 |
9,100만원 | 5,924,353 | 1,658,980 |
9,200만원 | 5,979,866 | 1,686,800 |
9,300만원 | 6,035,350 | 1,714,650 |
9,400만원 | 6,090,883 | 1,742,450 |
9,500만원 | 6,146,386 | 1,770,280 |
9,600만원 | 6,201,850 | 1,798,150 |
9,700만원 | 6,257,383 | 1,825,950 |
9,800만원 | 6,312,886 | 1,853,780 |
9,900만원 | 6,368,380 | 1,881,620 |
10,000만원 | 6,423,903 | 1,909,430 |
이상 2020년 연봉 실수령액을 살펴보았습니다. 모두 내년에는 더 높은 연봉을 받으시기를 응원합니다.
2020/07/20 - [정책정보] - 공기업 연봉순위 TOP 12
공기업 연봉순위 TOP 12
공기업 연봉순위 (초봉기준) TOP 12 공무원만큼 안정적이면서도 월급은 사기업 못지 않게 지급하는 공기업. 취준생들에게는 꿈의 직장으로 불리우는 곳들입니다. 우리나라 36개 공기업의 신입사��
todays-life.tistory.com
운전면허 취득일자 조회 (0) | 2020.07.22 |
---|---|
세종 교차로 신문 (0) | 2020.07.22 |
반지 호수 재는법 (포스트잇) (0) | 2020.07.21 |
별풍선 1개 가격, 얼마? (4) | 2020.07.21 |
풍요한아침 에그타르트 vs 곰곰 에그타르트, 과연 승자는? (0) | 2020.07.20 |
댓글 영역